목록2025/01/11 (5)
nhyunzi
alert 알려줌 prompt 입력 받음 confirm 확인 받음 alert() 메세지를 띄우면 확인 버튼 누를때까지 계속 떠있다.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기보다는 일방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ex) 비밀번호가 틀렸습니다. 회원가입시 이름은 필수 값 입니다 등 prompt()사용자에게 메세지를 보여주고 어떤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필드를 제공한다. 취소를 누르면 null을 반환한다. 두번째 인수를 넣으면 디폴트 값을 제공해 줄 수 있다. confirm()사용자에게 확인을 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확인은 true, 취소는 false를 반환한다.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창은 간단히 사용할 수 있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1. 스크립트 일시 정지 창을 닫기전까지 이후 동작에 제한을 받는다. ..
숫자에 관련된 작업을 할때 항상 NaN이 아닌지 염두에 둔다. 왜 염두에 두어야 할까?NaN이 연산 결과나 비교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1. NaN은 여러 연산에서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let result = 0 / 0; // 0을 0으로 나누면 NaN이 발생console.log(result); // NaNlet invalidNumber = Number("hello");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없어서 NaNconsole.log(invalidNumber); // NaN 2. NaN이 있으면 연산 결과가 이상해질 수 있다NaN이 포함된 연산에서는 예기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NaN과 다른 숫자와의 연산은 항상 NaN을 반환한다.따라서 NaN이 연산에 포함되면,..
변수는 어떤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한다.name = "Mike";age = 30;이때, 변수명이 유일하다는 보장이 없고 같은 이름으로 선언하면 값이 덮어씌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키워드 let, const let을 사용하여 동일한 변수명을 다시 선언하면 오류를 발생시킨다. let을 사용하여 변수 선언을 한번만 하면 해당 변수에 값을 재할당 할 수 있다. const는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 수정할 수 없다.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const PI = 3.14;const SPEED_LIMIT = 50;const BIRTH_DAY = '2020-01-01';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변하지 않는 값은 const, 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하자. (모..
40.1 이벤트 드리븐 프로그래밍브라우저는 처리해야 할 특정 사건(ex. 클릭, 키보드 입력, 마우스 이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다.만약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 반응하여 어떤 일을 하고 싶다면 해당하는 타입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될 함수를 브라우저에게 알려 호출을 위임한다.이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될 함수를 이벤트 핸들러라 하고,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브라우저에게 이벤트 핸들러의 호출을 위임하는 것을 이벤트 핸들러 등록이라 한다.이처럼 이벤트와 그에 대응하는 함수(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이와 같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이벤트 중심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래밍을 이벤트 드리븐 프로그래밍이라 한다.40.2 이벤트 타입이벤..
DOM은 HT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정보를 표현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API,즉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트리 자료구조다.39.1 노드39.1.1 HTML 요소와 노드 객체HTML 요소는 HTML 문서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요소를 의미한다.HTML 요소는 렌더링 엔진에 의해 파싱되어 DOM을 구성하는 요소 노드 객체로 변환된다.이때 HTHML 요소의 어트리뷰트는 어트리뷰트 노드로, HTML 요소의 텍스트 콘텐츠는 텍스트 노드로 변환된다.HTML 요소 간의 부자 관계를 반영하여 HTML 문서의 구성 요소인 HTML 요소를 객체화한 모든 객체들을 트리 자료 구조로 구성한다.트리 자료구조트리 자료구조는 노드들의 계층 구조로 이뤄진다.노드 객체들로 구성된 트리 자료구조를 DOM이라 한다. 노드 객체의 ..